JS 탐구생활 - Proxy와 Reflect
- javascript
TS의 데코레이터를 공부하다가 어디선가 Proxy에 대해서 언급한 것을 보아서, 이전부터 한번 정리하려고 했던 해당 부분을 정리해보았다.
1. Proxy의 기본
1.1. Proxy 선언
프록시는 객체를 감싸서 객체에 가해지는 작업을 가로채서 처리하거나 어떤 추가 작업을 하는 객체이다. 추가 작업 이후에는 원래 객체가 처리하도록 전달하기도 한다.
프록시 객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생성한다.
let proxy = new Proxy(target, handler);
target
은 프록시가 감쌀 객체로 JS의 모든 객체가 가능하다. handler
는 프록시가 가로챌 작업과 가로챘을 때의 동작을 정의하는 객체로 반드시 필요하다. 객체의 동작을 가로채는 handler
의 각 메서드는 trap
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생성한 프록시 객체에 작업이 가해졌을 때 handler
에 해당 작업에 대응하는 트랩이 있다면 트랩이 실행되고, 트랩이 없다면 프록시는 원래 객체에 작업을 전달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 handler
에 아무 트랩도 없으므로 proxy
에 가해지는 모든 작업은 그대로 target
에 전달된다. proxy는 일반 객체와 달리 프로퍼티가 없다.
let target = {};
let proxy = new Proxy(target, {});
1.2. 트랩의 종류
트랩을 사용해 프록시가 가로챌 수 있는 작업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원래 객체의 내부 메서드가 하는 작업인데 프록시의 트랩을 통해서 이런 내부 메서드 호출을 가로챌 수 있다.
해당 표는 Proxy와 Reflect글에서 가져왔다.
트랩 이름 | 대응하는 내부 메서드 | 호출 시점 |
---|---|---|
get | [[Get]] | 프로퍼티를 읽을 때 |
set | [[Set]] | 프로퍼티에 값을 쓸 때 |
has | [[HasProperty]] | in 연산자를 사용할 때 |
deleteProperty | [[Delete]] | delete 연산자를 사용할 때 |
apply | [[Call]] | 함수 호출 시 |
construct | [[Construct]] | new 연산자 사용시 |
getPrototypeOf | [[GetPrototypeOf]] | Object.getPrototypeOf |
setPrototypeOf | [[SetPrototypeOf]] | Object.setPrototypeOf |
isExtensible | [[IsExtensible]] | Object.isExtensible |
preventExtensions | [[PreventExtensions]] | Object.preventExtensions |
defineProperty | [[DefineOwnProperty]] | Object.defineProperty, Object.defineProperties |
getOwnPropertyDescriptor | [[GetOwnProperty]] |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 for..in, Object.keys/values/entries |
ownKeys | [[OwnPropertyKeys]] | Object.getOwnPropertyNames, Object.getOwnPropertySymbols, for..in, Object.keys/values/entries |
1.2.1. 트랩 사용 규칙
트랩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
값을 쓰는 처리가 성공했다면 [[Set]]
은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를 반환해야 한다.
값을 지우는 처리가 성공했다면 [[Delete]]
는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를 반환해야 한다.
프록시 객체에 [[GetPrototypeOf]]
가 적용되면 target 객체에 [[GetPrototypeOf]]
를 적용한 것과 동일한 값이 반환되어야 한다. 둘의 프로토타입은 같은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다른 규칙들은 프록시의 내장 메서드들 명세의 각 NOTE들에서 찾을 수 있다.
2. 트랩 사용 예시
2.1. get 트랩
get
트랩은 프로퍼티를 읽을 때 실행된다. get
트랩은 get(target, property, receiver)
형태로 정의된다.
target
은 동작을 전달할 객체, property
는 프로퍼티 이름, receiver
는 프록시 객체 또는 프록시 객체를 상속받은 객체로 getter가 호출되는 시점의 this이다. receiver는 일단 없어도 된다.
객체에 해당 key를 갖는 프로퍼티가 없을 경우 메시지를 출력하고 주어진 key를 그대로 반환하도록 해보자.
let target={};
let proxy=new Proxy(target, {
get(target, property, receiver){
if(property in target){
return target[property];
}
else{
console.log("no such property in the given target!");
return property;
}
}
})
target[1]="A";
// A
console.log(proxy[1]);
// no such ...
// 2
console.log(proxy[2]);
2.2. set 트랩
set
트랩은 프로퍼티에 값을 쓰려고 할 때 호출된다. set(target, property, value, receiver)
형태로 정의된다.
당연히 target
은 동작을 전달할 객체, property
는 프로퍼티 이름, value
는 프로퍼티에 쓰려는 값, receiver
는 get 트랩에서와 같다.
배열에 숫자만 추가되도록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let target=[];
let proxy=new Proxy(target, {
set(target, property, value){
if(typeof value==="number"){
console.log(value, "is added to the array!")
target[property]=value;
return true;
}
else{
console.log("only number can be added to the array!");
return false;
}
}
})
push
와 같은 메서드들도 내부적으로 [[Set]]
을 사용하기 때문에 값 추가 메서드들에 대해서도 프록시가 잘 동작한다.
set
트랩을 사용할 때는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값을 쓰는 처리가 성공했다면 [[Set]]
은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를 반환해야 한다. falsy 값을 반환시 TypeError
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3. has 트랩
has
트랩은 in
연산자를 사용할 때 호출된다. has(target, property)
형태로 정의된다.
property에 대한 특정 검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이 하면 in
연산자를 호출했을 때 range의 범위를 넘어가는지 검증할 수 있다.
let range={
start:1,
end:10
};
range=new Proxy(range, {
has(target, property){
return target.start<=property && property<=target.end;
}
});
console.log(5 in range); // true
이외에도 참고 자료 페이지들에서 여러 트랩의 사용을 볼 수 있다.
프록시의 한계점
프록시는 기존 객체의 동작을 가로채서 추가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프록시에도 한계점이 있다. 프록시는 객체의 내부 메서드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몇몇 객체들은 다른 내부 메서드를 통해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Map
객체는 [[Set]]
과 [[Get]]
을 [[MapData]]
라는 특수 슬롯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프록시가
3. Reflect
3.1. Reflect의 기본
Reflect
는 Proxy와 비슷하게 내부 메서드들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새로운 객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 객체의 내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생성자 함수나 클래스가 아니므로 인스턴스를 만들거나 new
로 호출할 수는 없다.
Reflect
가 가진 메서드들은 Proxy
에서 제공하는 핸들러와 완전히 같다. 첫 번째 인수는 내부 메서드를 적용할 target
이고 나머지 인수들은 Proxy
의 각 핸들러와 같다.
예를 들어 Reflect.get
은 [[Get]]
내부 메서드를 사용하도록 해준다.
const obj={
foo:1,
bar:2,
}
console.log(Reflect.get(obj, "foo")); // 1
물론 Proxy
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const obj={
foo:1,
bar:2,
}
const proxy=new Proxy(obj, {
get(target, property){
console.log("get is called!");
return Reflect.get(target, property);
}
})
new
, delete
같은 호출 연산자들도 각각 Reflect.construct
, Reflect.deleteProperty
를 통해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동작들은 굳이 Reflect
를 사용하지 않아도 할 수 있다. 그냥 obj.foo
를 하면 되지 않는가? 따라서 Reflect
를 쓰는 것의 장점을 알아보자.
3.2. Reflect의 장점
name
속성을 다음과 같이 핸들링하는 객체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해당 객체의 name
속성을 가져온다.
let user={
_name:"김성현",
get name(){
return this._name;
}
};
let userProxy=new Proxy(user, {
get(target, property, receiver){
return target[property];
}
})
console.log(userProxy.name); // 김성현
이렇게 한번 userProxy
를 만들고 나면 user
대신 userProxy
를 쓰는 게 맞다. 하지만 이렇게 하고 나서 userProxy
를 상속하는 객체가 생기면 어떻게 될까?
let userOnline={
__proto__:userProxy,
_name:"마녀",
}
// this의 작동 방식 상 `마녀`가 나오는 게 맞는 것 같은데 `김성현`이 나온다.
console.log(userOnline.name);
userOnline
에는 name
속성이 없으므로 프로토타입인 userProxy
로 가서 처리하게 되는데 userProxy
의 get 트랩은 target[property]
를 반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user
의 name
속성을 반환하게 된다.
Reflect
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Reflect
를 사용하여 userProxy
의 get 트랩을 다음과 같이 바꾼다.
이제 receiver
가 알맞은 this
에 대한 레퍼런스를 보관하고 Reflect.get
에 전달하므로 제대로 userOnline
의 name
속성을 반환하게 된다.
let user={
_name:"김성현",
get name(){
return this._name;
}
};
let userProxy=new Proxy(user, {
get(target, property, receiver){
// return Reflect.get(...arguments)로 쓸 수도 있다
return Reflect.get(target, property, receiver);
}
})
let userOnline={
__proto__:userProxy,
_name:"마녀",
}
// 마녀 출력
console.log(userOnline.name);
참고
모던 JS 튜토리얼, Proxy와 Reflect https://ko.javascript.info/proxy
JavaScript Proxy. 근데 이제 Reflect를 곁들인 https://ui.toast.com/posts/ko_20210413
자바스크립트의 프록시 https://yceffort.kr/2021/03/javascript-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