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tai의 Provider 컴포넌트는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목차

1. Jotai 소개와 Provider

Jotai는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Recoil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다. useAtom 훅을 사용하여 바텀업 형태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Provider 라는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특정 컴포넌트 서브트리에서 다른 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Jotai를 사용한 Counter 컴포넌트가 있다고 하자.

const countAtom = atom(0);

export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Atom(countAtom);
  return (
    <div>
      <h1>{count}</h1>
      <button onClick={() => setCount((c) => c + 1)}>+1</button>
    </div>
  );
}

그럼 countAtom은 전역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Counter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모든 곳에서 동일한 상태를 사용한다. 그런데 Provider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특정 컴포넌트 서브트리에서 다른 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하면 각 Provider마다 하위 컴포넌트들이 해당 Provider의 전역 상태를 사용하게 된다.

즉 "First TodoList Provider"아래 있는 Counter 컴포넌트들과 "Second TodoList Provider"아래 있는 Counter 컴포넌트들은 다른 전역 상태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물론 같은 Provider 아래에 있는 컴포넌트들은 같은 전역 상태를 사용한다.

function App() {
  return (
    <>
      <h1>상태 관리 실험</h1>
      <Provider>
        <h2>First TodoList Provider</h2>
        <Counter />
        <Counter />
      </Provider>
      <Provider>
        <h2>Second TodoList Provider</h2>
        <Counter />
        <Counter />
      </Provider>
    </>
  );
}

React Context APIProvider 컴포넌트에서는 우리가 value props를 따로 제공함으로써 어떤 값을 전역으로 사용할지 React에게 알려줘야 했다. 그런데 Jotai의 Providervalue props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Jotai의 Provider는 어떻게 작동하여 특정 컴포넌트 서브트리에서 다른 상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걸까? 궁금해서 Jotai의 소스 코드를 살펴보았다.

2. Jotai Provider 내부 코드

Jotai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GitHub에서 소스코드를 볼 수 있다.

2.1. Provider 컴포넌트

Jotai의 Provider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이 구현되어 있다.

// src/react/Provider.ts
export const Provider = ({
  children,
  store,
}: {
  children?: ReactNode
  store?: Store
}): FunctionComponentElement<{ value: Store | undefined }> => {
  const storeRef = useRef<Store>()
  if (!store && !storeRef.current) {
    storeRef.current = createStore()
  }
  return createElement(
    StoreContext.Provider,
    {
      value: store || storeRef.current,
    },
    children,
  )
}

value props가 왜 필요없는지는 바로 알 수 있다. Provider는 내부적으로 StoreContext.Provider를 만들어 사용하며 그때 value props에 store 또는 storeRef.current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럼 이때 들어가는 value는 무엇일까? 일단 Jotai의 atom은 실제 값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니다. atom 값을 저장하고 있는 store 객체(WeakMap)가 따로 있다. createStore 함수를 통해 이 store 객체를 만들 수도 있다.

이 store는 각각이 atom 상태들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있다. store는 각 atom들을 실제 상태에 매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2.2. createStore 함수

createStore 함수의 주석에서 이러한 설명을 찾아볼 수 있다.

// src/vanilla/store.ts
/**
 * Create a new store. Each store is an independent, isolated universe of atom
 * states.
 *
 * Jotai atoms are not themselves state containers. When you read or write an
 * atom, that state is stored in a store. You can think of a Store like a
 * multi-layered map from atoms to states, like this:
 *
 * ```
 * // Conceptually, a Store is a map from atoms to states.
 * // The real type is a bit different.
 * type Store = Map<VersionObject, Map<Atom, AtomState>>
 * ```
 *
 * @returns A store.
 */
export const createStore = (): Store => {
  // ... 생략 ...
}

이걸 알고 나서 Provider 컴포넌트를 다시 보자. 기존에 props로 넘겨졌거나 storeRef.current에 저장된 store 객체가 없다면 createStore함수를 통해 생성하여 value로 넣어준다.

만약 외부에서 createStore 등으로 store 객체를 따로 생성해서 Provider의 props로 넘겨줄 시 해당 store를 사용하게 된다.

// src/react/Provider.ts
export const Provider = ({
  children,
  store,
}: {
  children?: ReactNode
  store?: Store
}): FunctionComponentElement<{ value: Store | undefined }> => {
  const storeRef = useRef<Store>()
  if (!store && !storeRef.current) {
    storeRef.current = createStore()
  }
  return createElement(
    StoreContext.Provider,
    {
      value: store || storeRef.current,
    },
    children,
  )
}

useRef를 사용한 이유는 해당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될 시에도 값을 유지해 주기 위해서로 보인다. useRef를 이렇게 리렌더링 시에도 값이 유지되는 변수처럼 사용하는 방식은 React 공식 문서에도 소개되어 있는 방법이다.

Provider는 내부적으로 StoreContext.Provider를 사용하고 있으며 store 객체를 하위 컴포넌트들에 제공한다. 그런데 하위 컴포넌트들에서는 이러한 store 객체를 어떻게 가져다 쓰는 걸까?

3. useStore 훅

3.1. 훅 정의

Provider 컴포넌트 코드가 있는 파일에는 useStore라는 훅도 정의되어 있다. 말 그대로 store를 가져다 쓰기 위한 훅이다.

만약 훅의 인자를 통해 store가 넘어왔다면 해당 store를, 아니라면 StoreContext에서 가져온 store를 반환한다. 둘 다 아닐 경우 컴포넌트를 감싸는 Provider 컴포넌트 없이 Jotai atom을 사용했을 때 사용되는 기본 store를 반환한다(이 기본 store를 반환하는 게 바로 getDefaultStore()함수이다).

type Options = {
  store?: Store
}

export const useStore = (options?: Options): Store => {
  const store = useContext(StoreContext)
  return options?.store || store || getDefaultStore()
}

useStore는 어디선가 쓰여야 할 store 객체를 가져오는 훅이라고 할 수 있다.

3.2. useStore 훅을 통해 store 가져오기

이 훅이 바로 useAtom에서 Provider가 제공하는 store를 가져다 쓰는 역할을 한다.

useAtom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src/react/useAtom.ts
export function useAtom<Value, Args extends unknown[], Result>(
  atom: Atom<Value> | WritableAtom<Value, Args, Result>,
  options?: Options,
) {
  return [
    useAtomValue(atom, options),
    // We do wrong type assertion here, which results in throwing an error.
    useSetAtom(atom as WritableAtom<Value, Args, Result>, options),
  ]
}

useAtomValueuseSetAtom을 반환한다. useAtomValue는 atom의 값을 가져오는 훅이고 useSetAtom은 atom의 값을 변경하는 함수를 가져오는 훅이다.

atom의 값만 필요할 때, 혹은 값을 변경하는 함수만 필요할 때에 useAtomValueuseSetAtom을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무튼 해당 함수들의 내부를 보면 useStore 훅을 사용하여 store를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

// src/react/useAtomValue.ts
export function useAtomValue<Value>(atom: Atom<Value>, options?: Options) {
  const store = useStore(options)
  // ... 생략 ...
}

// src/react/useSetAtom.ts
export function useSetAtom<Value, Args extends unknown[], Result>(
  atom: WritableAtom<Value, Args, Result>,
  options?: Options,
) {
  const store = useStore(options)
  // ... 생략 ...
}

이런 방식으로 각 Provider 컴포넌트의 하위 컴포넌트들에서 각각 다른 store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3. 메모리 누수 방지책, WeakMap

그러면 Provider 컴포넌트가 여러 개 있을 때 각각의 Provider 컴포넌트가 각각의 store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여러 개의 store가 생기면 메모리 낭비가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할 수 있다.

하지만 Jotai의 store 객체는 WeakMap으로 관리된다. 또한 store 객체 내부의 atom 상태들도 WeakMap으로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atom의 경우 store 객체에서 해당 atom을 참조하고 있는 것과 상관없이 GC에 의해 메모리에서 해제된다. 그러면 각 store 객체는 오직 내부에서 사용되는 atom 상태들만을 가지고 있게 된다. 그래서 store 객체가 여러 개 생겨도 메모리 낭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정리

Jotai의 Provider 컴포넌트는 StoreContext.Provider를 사용하여 store를 하위 컴포넌트들에 제공한다. store들은 각각 atom 상태들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있다.

atom 값을 가져오는 useAtomValue와 atom 값을 변경하는 함수를 가져오는 useSetAtom 훅은 내부적으로 useStore 훅을 사용하여 가장 가까운 Providerstore객체를 가져와서 해당 store의 atom 상태들을 사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다른 Provider에 속한 하위 컴포넌트들은 각각이 Provider마다 다른 store 객체를 사용하게 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전역 상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store 객체는 WeakMap으로 관리되어 메모리 낭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참고

다이시 카토 지음, 이선협, 김지은 옮김,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Jotai의 Provider 공식 문서

https://jotai.org/docs/core/provider

Jotai createStore, getDefaultStore

https://jotai.org/docs/core/store

Jotai 소스 코드

https://github.com/pmndrs/jotai

MDN의 WeakMap 문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Weak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