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탐구생활 - 가변성(Variance)이란 무엇인가
- typescript
- 이 글은 읽는 사람이 슈퍼타입, 서브타입, 제네릭 등 기본적인 타입 시스템의 개념은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쓰여지는 글이다.
시작
TS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타입 시스템을 공부하다가 가변성(variance)이라는 개념을 만났다. 그래서 앞으로 이와 관련해서 2개의 글을 쓸 예정이다. 첫번째 글(이 글)에서는 가변성이라는 게 무엇인지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글에서는 가변성이라는 개념이 TS에 녹아 있는 부분 몇 가지를 알아볼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전체적으로 가변성 개념에 대해서 알아본다. 먼저 가변성이 우리에게 어떤 것을 전해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변성의 종류를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가변성을 어떻게 정하는지 알아본다. 본격적으로 TS와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다룰 예정이다.
이 글에서 쓰인 언어는 따로 언급이 없을 경우 TS 문법을 따른다. 하지만 이 글의 경우 TS의 타입 시스템보다는 일반적인 타입 이론의 관점에서 서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다행히 TS 4.7부터 Variance Annotation을 지원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 글의 내용이 대부분 TS에서도 적용될 수 있었다.
1. 가변성의 배경
이 섹션에서는 이 가변성이라는 개념을 우리가 왜 구체적으로 정의해야 했는지를 알아본다.
1.1. 배열의 서브타입 관계
TS에서 number
가 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인 것은 당연하다. string | number
가 number
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Array<T>
는 T
타입의 원소들을 가지는 제네릭 타입이다.
그러면 Array<number>
는 Array<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이 될까? 이는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number
타입 원소들이 들어 있는 배열은 string | number
원소들이 들어 있는 배열이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은가?
그러면 Array<number>
가 Array<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이므로 다음과 같은 할당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면 numberArray
와 stringNumberArray
는 같은 배열 객체를 참조하게 된다. 또한 Array<string | number>
를 매개변수로 받는 함수에 Array<number>
를 매개변수로 넘길 수도 있다.
const numberArray: Array<number> = [1, 2, 3];
// stringNumberArray은 numberArray와 같은 배열 객체를 참조하고 있다
const stringNumberArray: Array<string | number> = numberArray;
1.2. 배열의 서브타입 관계로 인한 문제
그런데 이렇게 하면 약간의 문제가 발생한다. JS에서 배열은 mutable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배열의 타입이 Array<T>
라고 할 때 T
타입의 원소들을 배열에 추가하는 push
등의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Array<string | number>
타입은 Array<number>
에 해당하는 배열 객체를 할당받고도 string 타입 원소를 추가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보자.
const numberArray: Array<number> = [1, 2, 3];
const stringNumberArray: Array<string | number> = numberArray;
stringNumberArray.push("foo");
// stringNumberArray는 이제 [1,2,3,"foo"]를 참조하고 있다
console.log(numberArray);
stringNumberArray
와 numberArray
는 이제 둘 다 [1, 2, 3, "foo"]
를 참조하고 있다. numberArray
는 number
타입 배열을 참조해야 하는데 그 배열에 string
타입 원소가 들어간 것이다!
이때 들어간 "foo"
는 numberArray
의 원소이기도 하므로 해당 원소를 numberArray
를 통해서 number 타입으로 사용해봐도 에러가 나지 않는다. 이는 이상한 일이다. n
은 number 타입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string이기 때문에 toFixed
같은 number 타입 메서드를 사용해보면 JS 에러가 발생한다.
const n: number = numberArray[3];
console.log(n); // "foo"
n.toFixed(); // n.toFixed is not a function 에러 발생
1.3. 가변성의 등장
그럼 뭐가 문제일까? 어떻게 해야 할까? Array<number>
가 Array<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인 게 잘못되었나? 아예 Array<T>
가 타입 인자들의 서브타입 관계를 무시하고 Array<number>
와 Array<string | number>
간에는 서브타입 관계가 없다고 정의하는 게 맞는 걸까? 실제로 C#에서는 List<T>
와 같은 제네릭 타입들이 이렇게 동작한다.
하지만 어쩐지 시원치 않다. '숫자 배열(Array<number>
)'이 '숫자 혹은 문자열이 들어간 배열(Array<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이라는 건 직관적으로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를 허용했을 경우 문제가 생기는 것을 우리는 위에서 보았다.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맞는 걸까? 더 나아가서, 하나의 제네릭 타입에 들어간 두 가지 타입에 서브타입 관계가 존재할 때 그렇게 만들어진 두 가지 제네릭 타입의 서브타입 관계는 어떻게 되어야 할까?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데에 쓰이는 개념이 바로 가변성이다.
2. 가변성의 종류
가변성은 이렇게 제네릭 타입이 주어진 타입 인자들 간의 서브타입 관계를 어떻게 취급하는지에 대한 개념이다. 먼저 이 관계들을 어떤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자. 이런 관계는 총 4가지가 있다.
2.1. 공변
공변은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를 보존하는 것이다. 즉 T
가 U
의 서브타입이면 Array<T>
는 Array<U>
의 서브타입이 되면 Array<T>
는 공변이다.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와 함께 변한다는 뜻을 담아서 공변(covariance)이라고 한다.
TS에서는 함수 인수를 제외한 제네릭 타입들은 기본적으로 공변이다.
2.2. 불변
불변은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를 무시하는 것이다. T
가 U
의 서브타입이라도 Array<T>
는 Array<U>
의 서브타입이 되지 않으면 Array<T>
는 불변이다.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와 함께 변하지 '않는다'는 뜻을 담아서 불변(invariance)이라고 한다.
C#이나 코틀린 같은 언어에서는 제네릭 타입들이 기본적으로 불변이다.
2.3. 반변
반변은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를 역전시키는 것이다. T
가 U
의 서브타입이면 Array<U>
가 Array<T>
의 서브타입이 되면 Array<T>
는 반변이다.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와 '반대로 변한다'는 뜻을 담아서 반변(contravariance)이라고 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보았던 Array
같은 경우 공변인 게 당연하다. 그래서 방금 Array
를 통해 설명한 반변은 매우 비직관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반변이 자연스러운 경우도 있다.
바로 함수의 매개변수 타입이 그렇다. (arg:number | string)=>any
타입은 숫자 혹은 문자열을 받아서 아무거나 리턴하는 함수 타입이다. 이는 해당 함수가 순수 함수라고 했을 때, 숫자를 받아서 아무거나 리턴하는 함수 타입인 (arg:number)=>any
타입에 포함된다.
숫자를 받아서 처리하는 함수
에 비해서 숫자 혹은 문자열을 받아서 처리하는 함수
는 더 구체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다르게 설명한다면, 숫자 혹은 문자열을 처리하는 함수
는 숫자를 처리하는 함수
라고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숫자 혹은 문자열을 받아서 처리하는 함수
타입은 숫자를 받아서 처리하는 함수
타입에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타입 관계가 성립한다.
TS에서 함수의 매개변수 타입이 반변이다(엄밀하게는 strictFunctionTypes
옵션이 true일 경우에 그렇다). 코틀린의 Comparator<T>
나 C#의 Action<T>
같이 함수의 매개변수 타입을 제네릭 타입 인자로 결정하는 타입들도 마찬가지로 반변이다.
2.4. 양변
양변은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를 양쪽으로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T
가 U
의 서브타입이면 Array<T>
는 Array<U>
의 서브타입이면서 슈퍼타입이면 Array<T>
는 양변이다. 제네릭 타입이 타입 인자의 양쪽으로 변한다는 뜻을 담아서 양변(bivariance)이라고 한다.
타입 검사의 관점에서 크게 유용한 점은 없다. 하지만 이후 글에서 볼 TS의 메서드 타입이 set(item: T): void;
와 같은 형식으로 선언될 경우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이 양변이 된다.
3. 타입 가변성 정의하기
가변성의 배경과 종류를 알아보았다. 이제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이 가변성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 어떤 종류의 가변성을 지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Generic<T>
라는 제네릭 타입이 있다고 하자. 그러면 어떤 경우에 해당 타입을 공변적으로, 어떤 경우에 불변적으로, 어떤 경우에 반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요약하자면 Generic
이 T
를 출력에만 사용하면 공변, 입력에만 사용하면 반변, 입력과 출력에 모두 사용하면 불변이다.
그럼 입력에 사용한다, 출력에 사용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3.1. 입력에 사용
Generic<T>
인터페이스에서 T
를 입력에 사용한다는 것은 T
타입의 인수를 받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
타입의 인수를 받아서 void
를 리턴하는 set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면 다음과 같다.
interface Generic<T> {
set:(value: T) => void;
}
이렇게 T
가 입력에만 사용될 경우 Generic<T>
는 반변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T
를 입력에만 사용한다는 말은 T
타입을 리턴하는 메서드는 가지고 있지 않고 T
타입의 인수를 받는 메서드만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in
키워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Generic<T>
는 반변이 되고 T
를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에만 사용할 수 있고 리턴 타입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 T를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interface Generic<in T> {
set: (value: T) => void;
}
3.2. 출력에 사용
Generic<T>
인터페이스에서 T
를 출력에 사용한다는 것은 리턴 타입이 T
인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인덱스 원소를 가져오는 메서드를 예시로 들 수 있겠다.
// T를 메서드 리턴 타입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interface Generic<T> {
get: (index: number) => T;
}
이렇게 T
가 출력에만 사용될 경우 Generic<T>
는 공변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T
를 출력에만 사용한다는 말은 T
타입의 인수를 받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지 않고 T
타입의 값을 리턴하는 메서드만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out
키워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Generic<T>
는 공변이 되고 T
를 메서드의 리턴 타입에만 사용할 수 있고 인수 타입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interface Generic<out T> {
get: (index: number) => T;
}
단 예외가 있는데 만약 반변인 제네릭 타입이 메서드의 매개 변수로 있는 경우 T
를 반변인 제네릭 타입의 타입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예시로 보는 게 이해가 쉽다. 다음 코드에서 Action<P>
는 반변이고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넘어갔다. 2번 반변되어서 공변이 되기 때문에 이런 동작이 허용된다.
type Action<P> = (param: P) => any;
interface Generic<out T> {
method: (value: Action<T>) => void;
}
3.3. 입력과 출력에 모두 사용
Generic<T>
인터페이스에서 T
를 입력과 출력에 모두 사용한다는 것은 T
타입의 인수를 받는 메서드와 T
타입의 값을 리턴하는 메서드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인덱스의 원소를 가져와 리턴하는 메서드와 원소를 추가하는 메서드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런 경우 T
를 입력과 출력에 모두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interface Generic<T> {
get: (index: number) => T;
append: (value: T) => void;
}
이런 경우 Generic<T>
는 불변이어야 한다. C#이나 코틀린 등 많은 언어들이 대부분의 제네릭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불변이다. TS같은 경우 제네릭이 기본적으로 공변이기 때문에 불변 제네릭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in out
키워드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interface Generic<in out T> {
get: (index: number) => T;
append: (value: T) => void;
}
3.4. 입출력 또한 제네릭일 때
Generic<T>
제네릭 타입에서 T
가 입력으로만 쓰이면 반변, 출력으로만 쓰이면 공변일 수 있고 둘 다라면 불변이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는 T
가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으로 있는지 리턴 타입으로 있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경우는 어떨까? 메서드의 리턴 타입이 또다른 제네릭 타입일 경우이다.
interface Foo<out T> {
outMethod: () => Bar<T>;
}
이럴 경우에는 Bar
에서 T
가 어떻게 쓰이는지에 따라 가능 여부가 갈리게 된다. 먼저 Bar
에서 T
가 출력으로만 쓰인다고 하자.
interface Bar<out T> {
outMethod: () => T;
}
interface Foo<out T> {
outMethod: () => Bar<T>;
}
그러면 T
는 출력에만 쓰이게 되고 Foo
가 공변적으로 동작하는 데에 아무 문제도 없다. 서브타입 관계도 그냥 Foo
, Bar
모두 타입 인자의 서브타입 관계를 보존하면 된다.
그런데 만약 T
가 Bar
에서 입력으로 쓰인다면? 이런 경우를 보자. 다음 경우에 Bar
는 반변이고 Foo
는 공변이다.
interface Bar<in T> {
inMethod: (t: T) => void;
}
interface Foo<out T> {
outMethod: () => Bar<T>;
}
그러면 다음과 같은 문제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number
는 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이다. 따라서 Foo<number>
는 Foo<string | number>
의 서브타입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코드가 가능하다.
const fooN: Foo<number> = ...;
const fooSN: Foo<string | number> = fooN;
그 다음 이런 코드를 실행시킨다고 해보자. 이는 주석에 쓴 대로의 문제가 발생한다.
/*
fooSN은 fooN 객체를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fooSN.outMethod()의 리턴 객체는 사실 Bar<number>와 같은 만큼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fooSN.outMethod()에서 리턴된 객체는 타입 시스템에서 Bar<string | number> 타입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string을 fooSN.outMethod().inMethod에 넘기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문제가 된다.
*/
fooSN.outMethod().inMethod("foo");
물론 inMethod
가 사실 T
를 어떤 문제되는 동작도 없는 데에만 쓸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함수 인자로 받은 t
를 그대로 출력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함수의 내부 동작을 컴파일러가 컴파일 시점에 알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컴파일러는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이런 상황에 에러를 발생시킨다.
제네릭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다른 경우들도 비슷하게 생각해서 추론할 수 있다. 타입 인자를 입력에만 계속 쓰는 경우, 출력에만 계속 쓰는 경우에만 이런 연쇄가 허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가변성을 정의하는 시점
TS에서는 제네릭 타입을 정의할 때만 가변성을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몇몇 언어에서는 제네릭 타입의 가변성을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이 또 하나 있다. 개발자가 제네릭 타입을 사용할 때 가변성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언어들이 있다. 이런 2가지의 가변성 지정 시점에 대해 간단히나마 알아보자.
4.1. 제네릭 타입 정의와 함께 가변성 정의
제네릭 타입의 가변성을 정의하는 첫번째 방법은 제네릭 타입을 정의할 때 가변성을 정의하는 것이다. TS에서 이런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제네릭 타입 인자 앞에 in
을 붙이면 해당 인자는 반변이 되고 out
을 붙이면 해당 인자는 공변이 된다. 대신 in
을 붙인 인자는 입력에만, out
을 붙인 인자는 출력에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언어들에서는 +
나 -
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interface ReadOnlyList<out T> {
get(index: number): T;
}
interface Map<in K, V> {
get(key: K): V;
set(key: K, value: V): void;
}
그런데 이렇게 하면 제네릭 타입 인자의 가변성이 일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대신 제네릭 타입 사용에 큰 제약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위의 ReadOnlyList
타입은 오직 출력만 할 수 있다. 만약 T
타입 원소를 매개변수로 받아 리스트에 추가하는 메서드를 가지고 싶다면 set
메서드의 입력에 T
타입을 사용해야 하므로 ReadOnlyList
를 불변으로 만들어야 한다.
자연스러운 가변성을 부여하는 대신 입력 혹은 출력 둘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을 만들거나, 불변으로 만들어야 한다.
물론 immutable(보통 불변으로 번역되는데, invariant의 번역인 불변과 헷갈리지 않기 위해 immutable 그대로 표기하였다)한 자료구조만 사용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런 문제가 덜하다. 하지만 함수형에도 concat
등 원소를 추가하는 메서드가 있는 자료구조가 있다. 이런 메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T가 불변이 되어야 한다!
interface ReadOnlyArray<in out T> {
get(index: number): T;
concat(array: ReadOnlyArray<T>): ReadOnlyArray<T>;
}
물론 실제 TS에서는 ConcatArray<T>
라는 자료구조를 사용해서 이런 제약을 우회한다. 이는 다음 글에서 살펴볼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해도 코드가 복잡해지고, 여전히 mutable한 자료구조에 대한 문제는 남는다. 그래서 코틀린 등 몇몇 언어에서는 가변성을 지정하는 시점을 타입을 사용하는 시점으로 미룬다.
4.2. 제네릭 타입 사용과 함께 가변성 정의
제네릭 타입의 가변성을 정의하는 두번째 방법은 제네릭 타입을 사용할 때 가변성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제네릭 타입을 정의할 때보다는 덜 직관적이지만 제네릭 타입을 사용할 때 더 유연하게 가변성을 정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타입은 아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네릭 타입을 사용할 때 in
을 붙이면 해당 인자는 반변이 되고 out
을 붙이면 해당 인자는 공변이 된다. 대신 in
을 붙인 타입 인자는 입력에만, out
을 붙인 타입 인자는 출력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Generic<T>
는 서브타입 정의상 Generic<in T>
와 Generic<out T>
의 서브타입이 된다. Generic<T>
가 둘 각각보다 더 구체적인 타입이기 때문이다.
코틀린에서 이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정의할 때 가변성을 공변이나 반변으로 지정한 경우 사용할 때 바꿀 수 없지만 불변으로 정의한 제네릭 클래스의 경우 사용할 때 in
이나 out
키워드를 통해 가변성을 지정할 수 있다. 다음은 이를 사용하는 간단한 코틀린 코드이다.
class Generic<T> {
fun get(index: Int): T
fun set(value: T): Unit
}
// get 메서드만 사용가능
val generic1: Generic<out T> = ...
// set 메서드만 사용가능
val generic2: Generic<in T> = ...
이로써 가변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TS에서 가변성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해 볼 만한 부분들을 알아볼 것이다.
참고
홍재민,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TypeScript에서의 변성(Variance): 도대체 왜 이렇게 된 거야? https://driip.me/d230be64-df1d-4e9a-a8c2-cba6bbc0ae15
C# 공변성과 반공변성이란? https://sticky32.tistory.com/entry/C-%EA%B3%B5%EB%B3%80%EC%84%B1%EA%B3%BC-%EB%B0%98%EA%B3%B5%EB%B3%80%EC%84%B1%EC%9D%B4%EB%9E%80
Variant 제네릭 인터페이스 만들기(C#)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csharp/programming-guide/concepts/covariance-contravariance/creating-variant-generic-interf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