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탐구생활 - TS infer 키워드의 활용

목차

1. infer 키워드란?

1.1. 소개

TS에서는 몇 가지 유틸리티 타입을 제공한다. Record<Keys,Type>이나 Omit<Type, Keys>와 같은 것들은 꽤나 흔히 쓰인다.

그런데 이중 함수를 받아서 해당 함수의 리턴 타입을 추출하는 ReturnType<Type>이라는 유틸리티 타입이 있다. 이것은 함수의 리턴 타입을 추출하는 것이다.

TS 핸드북의 예시를 가져와 보면 이해가 쉽다.

// type T0 = string
type T0 = ReturnType<() => string>;

// type T1 = number
type T1 = ReturnType<(s: string) => number>;

// type T2 = unknown
type T2 = ReturnType<<T>() => T>;

이런 마법같은 유틸리티 타입은 어떻게 동작하는 것일까? 이것은 바로 infer 키워드를 사용해서 동작한다. 실제 ReturnType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type ReturnType<T extends (...args: any) => any> = T extends (...args: any) => infer R ? R : any;

복잡해 보이는 위 선언을 잘 뜯어보면, T는 함수 타입이고 리턴 타입에 infer키워드가 붙어 있다. 이는 T의 리턴 타입을 추론해서 R이라는 타입 변수에 할당하겠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 RReturnType의 리턴 타입이 된다.

그런 과정을 거쳐서 ReturnType은 함수의 리턴 타입을 추론해서 리턴하는 유틸리티 타입이 된다.

1.2. 사용법

infer 키워드는 컨디셔널 타입과 함께 사용되어야만 한다. 만약 그냥 쓸 시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마주하게 된다.

'infer' declarations are only permitted in the 'extends' clause of a conditional type.

컨디셔널 타입에서 타입스크립트에 추론을 맡기고 싶은 부분에 infer 키워드와 타입 변수를 사용하면 된다.

Such inferred type variables may be referenced in the true branch of the conditional type.

TS 공식 문서의 Conditional Types section

컨디셔널 타입의 참 부분에만 infer된 타입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거짓 부분에서 쓰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왜 그런지는 생각해 보면 당연하다. infer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다면 참으로, 없다면 거짓으로 가게 되는데 infer를 통해서 타입을 추론할 수 없다면 해당 타입을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infer를 통해서 타입을 결정할 수 있는 참 부분에서만 infer를 통해 만들어진 타입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잘 작동한다.
type Element<T>=T extends (infer U)[] ? U : T;
// Cannot find name 'U'
type Element<T>=T extends (infer U)[] ? T : U;

나머지는 그냥 추론하려는 부분을 infer로 만들기만 하면 된다.

// 배열 요소 타입 얻기
type Elem<T>=T extends (infer U)[] ? U : T;

type A=Elem<string[]>; // string

// 함수 파라미터 타입 얻기
type Param<T>=T extends (...args: infer P) => any ? P : never;

type B=Param<(a: string, b: number) => void>; // [string, number]

1.3. 여러 개의 infer

하나의 타입 변수에 여러 개의 inf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 매개변수 타입과 리턴 타입을 추론해서 튜플에 담아 리턴해 준다.
type ParamAndReturn<T>=T extends (...args: infer P) => infer R ? [P, R] : never;

반면 같은 infer 타입 변수를 여러 곳에 사용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같은 이름의 타입 변수들은 유니온으로 합쳐진다. 하지만 반공변성을 갖는, 이를테면 매개변수와 같은 것들은 인터섹션이 되어 리턴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공변성에 관한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a의 타입과 b의 타입이 합쳐져서 리턴된다. 
type InferUnion<T> = T extends { a: infer U; b: infer U } ? U : never;
// a의 타입과 b의 타입의 intersection이 리턴된다. 매개변수는 반공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type InferIntersection<T> = T extends { a: (x: infer U) => void; b: (y: infer U) => void } ? U : never;

그럼 이제 이 infer가 어디에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자.

2. 함수 인자 타입 추론

그럼 이런 infer를 어디에 사용할 수 있을까? 위에서 Param<T>와 같은 타입으로 함수 타입의 인자 타입을 얻어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았다. 이를 이용해 함수 인수 타입을 따로 가져오는 것이 infer의 단순한 활용법 중 하나다.

2.1. 함수 인자 타입 추론 방법

infer를 이용하면 위에서 보았듯이 함수의 인자 타입, 혹은 함수의 특정 인자 타입을 추론할 수 있다.

type GetArgumentType<T> = T extends (...args: infer U) => any ? U : never;

type GetFirstArgumentType<T> = T extends (arg: infer U, ...args:any) => any ? U : never;

2.2.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함수 인자 타입 추론

이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함수 인자의 타입을 제대로 제공하지 않는 라이브러리가 있을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된 라이브러리 함수가 있다고 하자.

function introduce(person:{
    name:string;
    age:number;
    hobbies:[string, string];
}){
    return `${person.name}${person.age}살이고 ${person.hobbies.join(" 와 ")}가 취미입니다.`
}

라이브러리에서 introduce의 인자를 위한 Person타입 같은 걸 제공하지 않는다면 이 함수의 인자를 알맞게 만들어도 타입 검사를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const me={
    name:"김타입",
    age:26,
    hobbies:["JS", "TS"],
}
// me.hobbies의 타입이 string[]으로 추론되어 타입 에러 발생
introduce(me);

이때 infer를 사용한 유틸리티 타입을 만들어서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me의 타입을 제대로 선언해 주는 것이다.

type GetFirstArgumentType<T> = T extends (arg: infer U, ...args:any) => any ? U : never;

const me:GetFirstArgumentType<typeof introduce>={
    name:"김타입",
    age:26,
    hobbies:["JS", "TS"],
}

introduce(me);

그냥 Person 타입을 새로 정의해 주는 방법도 있겠지만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의 코드를 다 파악해서 타입을 새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infer를 사용한 GetFirstArgumentType<T>와 같은 타입으로 쉽게 함수 인자 타입을 추론해 줄 수 있다.

이런 활용은 꼭 함수 인자 타입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생성자 매개변수 타입이라든지 인스턴스 타입이라든지 하는 것들을 제대로 제공해 주지 않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infer를 사용해서 혼내줄 수 있다.

2.3. 리액트 컴포넌트 props 타입 추론

이는 리액트 관련 라이브러리에서 컴포넌트의 props 타입을 제대로 제공하지 않을 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type InferProps<T> = T extends React.ComponentType<infer P> ? P : never;

// LibComponent의 props 타입을 추론
type MyProps = InferProps<typeof LibComponent>;

React에서는 이를 좀 더 발전시킨 ComponentProps 유틸리티 타입을 제공하고 있다. 만약 T가 JSX 엘리먼트 생성자라면 즉 리액트 컴포넌트 타입이라면 ComponentProps<T>는 해당 엘리먼트의 props 타입을 추론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HTML 내장 요소, <div><button>과 같은 IntrinsicElements인지 확인하고 그렇다면 해당 요소의 props 타입을 추론한다.

만약 JSX 엘리먼트 생성자도 아니고 HTML 내장 요소도 아니라면 null이나 undefined외에 모든 타입을 허용하는 {} 타입을 리턴한다.

// @types/react/index.d.ts
type ComponentProps<T extends keyof JSX.IntrinsicElements | JSXElementConstructor<any>> =
    T extends JSXElementConstructor<infer P>
        ? P
        : T extends keyof JSX.IntrinsicElements
            ? JSX.IntrinsicElements[T]
            : {};

3. 재귀적 타입 추론

infer는 매우 심화된 타입 작업을 할 때에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그 대표적인 예시가 재귀적 타입인데, 사용된 타입에서 특정 부분만 뽑아내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infer타입의 특성 덕분이다.

이 재귀적 타입은 TS 4.1.0 이상 버전에서만 동작한다.

아무튼 몇 가지 예시를 통해서 이런 활용법을 알아보자.

3.1. 예시 - 평탄화 타입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보자. 다음은 중첩 배열을 평탄화하는 함수에 대한 타이핑을 한 것이다. flatRecurisve에서 재귀적으로 함수를 flatten하는 과정과 비슷하게 타입도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는 코드이다.

// 배열 T를 flat한 배열의 타입을 나타낸다
type Flatten<T extends readonly unknown[]> = T extends unknown[] ? _Flatten<T>[] : readonly _Flatten<T>[];
// T 타입을 flat 하기 위한 보조 타입. T가 배열이 아니라면 T를 리턴하고 배열이면 배열의 요소를 리턴한다.
// 즉 배열의 요소들을 모두 평탄화해 유니언한 타입을 리턴한다.
type _Flatten<T> = T extends readonly (infer U)[] ? _Flatten<U> : T;

// T를 평탄화한 배열의 타입 Flatten<T> 타입을 리턴한다
function flatRecurisve<T extends readonly unknown[]>(xs: T): Flatten<T> {
  const result: unknown[] = [];

  function flattenArray(arr: readonly unknown[]) {
    for (const item of arr) {
      if (Array.isArray(item)) {
        flattenArray(item);
      } else {
        result.push(item);
      }
    }
  }

  flattenArray(xs);

  return result as Flatten<T>;
}

const t1 = flatRecurisve(['apple', ['orange', 100], [[4, [true]]]] as const);

여기서 주의깊게 봐야 할 점은 T를 평탄화한 배열의 타입을 리턴하는 Flatten<T> 타입이다. 이 타입은 _Flatten을 이용해서 만들어지는데 이게 바로 재귀적 타입이다. T가 만약 배열 타입이라면 배열의 요소를 나타내는 U를 재귀적으로 flatten한다. 그리고 배열 타입이 아니라면 그대로 T를 리턴한다.

이를 이용하면 _Flatten<T>는 배열 타입 T를 평탄화한 타입이 될 것이다. 가령 _Flatten<['apple', ['hi', 100], [[4, [true]]]]>true | "hi" | 100 | 4 | "apple"과 같이 배열의 모든 요소가 flatten되어 유니온된 타입이다.

3.2. 예시 - Promise return 타입

infer는 Promise의 리턴타입을 추론하는 데에도 쓰일 수 있다.

type PromiseReturnType<T> = T extends Promise<infer Return> ? Return : T

type t = PromiseReturnType<Promise<string>> // string 

하지만 제대로 된 Promise의 리턴타입을 추론하려면 중첩된 Promise도 제대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하겠다. 이런 것을 잘 해주는 유틸리티 타입이 이미 있다. Awaited<T>가 그것이다.

let promise = Promise.resolve([1, 2, 3]); // Promise<number[]>

type A=Awaited<typeof promise>; // number[]

lib.es5.d.ts에 정의된 이 Awaited 타입의 원형을 보면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타입이 정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재귀적으로 Promise를 unwrap하여 결과물을 리턴한다. JSdoc에 나와 있듯이 이는 await의 동작을 모방한 것이다.

// lib.es5.d.ts
/**
 * Recursively unwraps the "awaited type" of a type. Non-promise "thenables" should resolve to `never`. This emulates the behavior of `await`.
 */
type Awaited<T> =
    // `--strictNullChecks` mode가 아닐 때 T가 null이나 undefined라면 T를 리턴한다
    T extends null | undefined ? T :
    // T가 호출 가능한 then 메서드를 가진 thenable이라면 await이 unwrap한다. 아니라면 T를 리턴한다.
        T extends object & { then(onfulfilled: infer F, ...args: infer _): any } ?
        // F는 then 메서드의 첫번째 인자 타입이다. 만약 이게 callable이라면 재귀적으로 unwrap한다. 이는 thenable 내부 값의 awaited type도 unwrap하는 역할을 한다.
            F extends ((value: infer V, ...args: infer _) => any) ?
                Awaited<V> : // recursively unwrap the value
                // 만약 then 메서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 F가 호출 가능한 함수가 아니라면
                // thenable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것이므로 never 리턴
                never : 
        T; // T is non-object or non-thenable

3.3. 예시 - 경로 검증 타입

Reddit의 한 스레드에서 찾은 좀 더 복잡한 재귀 타입의 예시로 infer의 활용은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는 객체의 중첩된 경로에서 값을 안전하게 가져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타입이다.

객체와 객체에서 접근할 경로(.으로 구분된)을 받아서 해당 경로에 접근하는데 만약 객체 타입 T내부에 K경로에 해당하는 값이 없다면 never타입이 되어 오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get함수를 사용하면 객체의 특정 경로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궁금한 사람은 playground 링크를 참고해볼 수 있다.

// 제공된 객체 T에서 문자열 경로 K의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하는 타입
type PathValue<T, K extends string> =
    // K가 점으로 구분된 문자열이라면 점 앞쪽 문자열을 Root, 점 뒤쪽 문자열을 Rest로 할당한다.
    K extends `${infer Root}.${infer Rest}` ?
        // Root가 T의 key 중 하나라면 재귀적으로 타입을 추론한다. 만약 Root가 T의 key 중 하나가 아니라면 never를 리턴하여 재귀 탈출
        Root extends keyof T ? PathValue<T[Root], Rest> : never
    // K가 더 이상 점으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는 top level key라는 것이므로 T의 key 중 하나인지 확인하고 그 값을 가져오기를 시도한다
    : (K extends keyof T ? T[K] : undefined)

// 이 타입은 경로 K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유효한 경로라면 K를 반환, 그렇지 않다면 never를 반환
type ValidatedPath<T, K extends string> = PathValue<T, K> extends never ? never : K;

/**
 * Access an object via dot-notation string
 */
// 객체 entity와 점으로 분할된 경로 path를 받아서 해당 경로의 값을 리턴한다.
// PathValue의 정의상 만약 T에 K경로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리턴타입이 never가 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function get<T extends object, K extends string>(entity: T, path: ValidatedPath<T, K>): PathValue<T, K> {
  // path를 점으로 분할하여 entity 내의 해당 경로에 접근하여 값을 반환
    return path.split(".").reduce((acc: any, k) => acc[k], entity);
}

4. 마치며

infer 타입은 사실 TS를 하면서 자주 마주할 일은 없는 타입이다. 자주 사용한다면 오히려 뭔가 코드가 이상해지고 있다는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외부 함수를 사용할 때 함수의 인자나 리턴 타입 추론, 재귀적인 타입 추론 등 다른 타입에서 어떤 일부 타입을 뽑아서 사용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활용법을 알아두면 나중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2023.10.20 내용 추가)

5. 유니언을 인터섹션으로

infer를 이용하면 유니언 타입을 인터섹션 타입으로 바꿀 수 있다. 어떻게 하는 걸까? 일단 같은 이름의 타입 변수를 여러 군데 쓰면 공변성을 갖는 타입들에 한해서 유니언으로 합쳐진다는 것을 보자. T의 프로퍼티 value들이 모두 U로 추론되어 유니언된다.

type InferUnion<T>=T extends {[key:string]:infer U}?U:never;

// 1 | 2 | 3 | 'a' | 'b'
type R=InferUnion<{a:1|2, b:2|3, c:1|'a'|'b'}>

반면 함수 매개변수는 반공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인터섹션된다. U로 추론된 함수 매개변수들이 모두 인터섹션되어 결과 타입으로 리턴된다.

type InferIntersection<T>=T extends {[key:string]:(p:infer U)=>void}?U:never;

type Foo={
    a(p:1|2|3):void,
    b(p:2|3|4):void
}
// 2|3
type R2=InferIntersection<Foo>

그럼 유니온 타입을 인터섹션으로 바꾸려면 해당 유니온의 각 요소를 제네릭 분배법칙을 이용해서 각각 함수 매개변수로 만들고 이를 인터섹션시키면 된다.

type UnionToIntersection<U>=
(U extends any?(param:U)=>void:never) extends (param:infer I)=>void? I : never;

위처럼 쓰면 만약 UU1 | U2 | ... | Un이었다면 일단 제네릭 분배법칙에 의해 UnionToIntersection<U1> | ... | UnionToIntersection<Un>이 된다. 그리고 각각은 any를 extends할 테고 그러면 ((param:Ui)=>void) extends (param:infer I)=>void? I : never가 되어 IUi로 추론된다.

그런데 이 I들은 함수 매개변수이므로 인터섹션되고 따라서 UnionToIntersection<U>U1 & ... & Un이 된다.

이를 boolean과 함께 쓸 때는 boolean 타입이 true | false로 해석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UnionToIntersection<boolean | true>true & false & true가 되어 never가 된다.

참고

조현영 님의 타입스크립트 교과서

Understanding infer in TypeScript https://blog.logrocket.com/understanding-infer-typescript/

Infer keyword in TypeScript https://dev.to/0ro/infer-keyword-in-typescript-3nig

TypeScript Infer keyword Explained https://javascript.plainenglish.io/typescript-infer-keyword-explained-76f4a7208cb0

Reddit의 Typescript 게시판의 한 스레드, Can someone explain the purpose of infer keyword? https://www.reddit.com/r/typescript/comments/msr4vk/can_someone_explain_the_purpose_of_infer_keyword/

https://imygnam.tistory.com/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