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탐구생활 - TS의 never 타입
- typescript
1. TS의 never 타입
TS의 never 타입은 어떤 타입도 대입할 수 없으며 집합으로 치면 공집합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유니언 타입에서 모든 타입이 배제되었을 때 never 타입이 된다.
혹은 에러를 발생시키거나 무한 루프를 도는 함수의 리턴타입으로도 쓰인다. 단 함수 선언문으로 그런 함수가 선언되었을 경우 그 함수의 리턴 타입은 void이고 함수 표현식으로 그런 함수가 선언되었을 때만 리턴타입이 never가 된다.
따라서 함수 선언문으로 선언된 함수가 에러를 발생시키는 함수일 경우 리턴 타입을 never로 명시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tsconfig에서 noImplicitAny
를 체크 해제시(혹은 false로 설정) 빈 배열이 never[]
타입으로 추론된다.
그럼 이런 타입은 왜 존재하며, 어디에 쓰이는 걸까?
2. never 타입의 존재 이유
타입은 프로그램에 존재할 수 있는 값들을 그 능력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정수 타입은 사칙연산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문자열 타입은 문자열을 조작하는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종의 집합 같은 느낌이라 생각할 수 있다. 어떤 능력을 가진 값들을 모두 묶은 집합이 타입이 되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타입을 다루면서, 각 값들이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분류하게 된다. Typescript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string 타입 집합에 'ab'
같은 값들이 속하고 number 타입 집합에 1
같은 값들이 속하는 것이다. 이때 never 타입 집합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왜 이런 타입이 존재하는 것일까? 이런 경우를 생각해 보자.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메시지를 출력하고 바로 에러를 던져서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함수이다. 이 함수의 리턴타입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 ???
으로 일단 표기하겠다.
이 함수를 다른 곳에서 사용한다고 생각해 보면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divide
에서 y
가 0일 시 아예 리턴을 하지 않고 함수가 종료되어 버린다.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때는 계산이 무사히 완료되어 x/y
가 리턴되므로 divide
의 리턴타입은 x/y
의 타입 즉 number가 된다.
그러면 throwError
의 리턴타입도 number가 되는 게 합리적으로 보인다. 어차피 throwError
는 함수 내용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종료되고, 나머지 경우에 divide
는 number를 리턴하므로 throwError
의 리턴타입도 똑같이 number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throwError
가 다른 리턴타입을 가진 함수 내에서 쓰일 경우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럴 경우 concat
의 리턴타입은 throwError
의 리턴타입인 number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concat
이 리턴하는 string타입과는 다르다. 그래서 throwError
의 리턴타입을 number로 하는 것은 좋지 않다.
하지만 핵심은, 여기서 throwError
의 리턴타입이 결코 쓰일 일이 없다는 것이다. throwError
가 호출되면 에러가 발생해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실 throwError
의 리턴타입은 무엇이 되어도 상관이 없다. 타입 검사를 통과하기만 하면 된다.
이런 경우를 위해서 never
타입이 있다. 어디서든 쓰일 수 있고, 하지만 이 타입을 리턴하는 함수가 아예 끝마쳐지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내기에 절대로 쓰일 일이 없는 타입으로 말이다.
그리고 여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타입을 집합으로 따졌을 때 공집합으로 정의되는 타입이다. 모든 타입의 서브타입이 될 수 있고, 어떤 서술을 해도 공허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throwError
의 리턴타입은 never가 된다.
마찬가지로 무한 루프를 도는 함수의 리턴 타입도 never가 된다. 이 함수는 영원히 리턴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never의 동작은 정말 공집합과 비슷하여 어떤 값과 union을 해도 의미가 없고, 어떤 값과 intersection을 해도 결과를 never로 추론한다.
3. never의 용도
3.1. 구조적 타이핑 비허용
어떤 객체가 a속성 혹은 b속성만 가질 수 있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타입은 구조적 타이핑을 허용한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 객체는 위 타입을 만족한다. 이 객체는 a속성도 b속성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a속성과 b속성 둘 중 하나만 가지도록 하고 싶다면 never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AorB
를 정의하면 위와 같은 객체는 AorB
의 타입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다.
3.2. 조건부 분기문에 도달할 수 없음을 표시
infer
를 써서 조건부 타입 내에 다른 타입을 변수로 만들 때, 조건부 타입에서 생기는 모든 분기에 타입을 추가해야 한다. 하지만 이론상 도달할 수 없는 타입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never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함수 파라미터 타입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코드가 사용된다. P
를 추론하지 못했을 때 never 타입이 쓰인다.
3.3. 멤버 필터링
뭔가를 필터링할 때 분배법칙과 never타입을 이용한다.
유니언의 분배 법칙을 이용해서 유니언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원하지 않는 타입에 대해서는 never 타입이 되도록 해서 유니언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입만 남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유틸리티 타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타입은 유니언 타입에서 name
이 string
인 타입만 추출한다.
위처럼 필터링 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는 속성들에 대해서 never 타입을 사용하여 유니언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발전시켜 객체 타입의 키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이 쓰면 Obj
타입에서 ValueType
타입의 키만 추출할 수 있다.
참고
홍재민, '프로그래밍 언어 속 타입' 중 2.2 집합론적 타입 - 최소 타입 https://blog.hjaem.info/18
타입스크립트 타입 never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https://yceffort.kr/2022/03/understanding-typescript-never